# 프로젝트관리

• 프로젝트 : 일시성, 산출물, 구체화
• 프로젝트 관리 : 시스템 개발을 잘 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법 도구 활용
• 프로젝트 관리 3대 제약조건 : 범위, 원가, 일정 -> 품질
• 프로젝트 관리자 : 팀원/고객 마음관리, 의견조율 등
• PMO : 멀티 프로젝트 관리, 방법론 관리
• PMBOK : 프로젝트 관리 지식체계 (관리 프레임워크, 관리 표준, 관리 지식영영)
• 49개 영역
• 프로젝트 생명주기
• 예측생명주기
• 반복적생명주기 : 불명확함, 구체화 필요(반복필요)
• 증분형생명주기 : 단계별로 개발
• 적응적생명주기 : 에자일로 짧게, 짧게 적용
• 폭포수모델 : 단계별 확실한 매듭
• 프로토타이핑모델 : 모델설계/개발을 반복해서 확인하면서 진행
• 나선형모델 : 프로토타입을 반복하면서 진행
• 점진적모델 : 1,2,3차에 걸쳐 진행
• 우리는 어떤 라이프 사이클을 가지고 전략적으로 접근할 것인가라는 결정 필요.
• 에자일 방법론이 각광. 환경변화 잦음. 2~4주로 개발 주기 가져가며, 기능 개발
• Scrum, XP, Lean 등의 방법론
•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: 시작 > 기획 > 실행 > 통제 > 종료
• 통합관리 : 식별, 정의, 결합, 통합 및 조정하는 프로세스와 활동들
• 착수 : 프로젝트 헌장 개발 (합의, 조정 등..)
• 계획수립 : 계획서 문서화
• 실행
• 모니터 및 통제
• 범위관리
• 계획수립: 범위관리 계획 수립, 요구사항 수집, 범위 정의, WBS 작성 (원래는 업무범위만. 현장에선 일정까지)
• 1개의 task는 1주단위, 최대 2주. 그래야만 결과물과 연계하여 관리가 유용.
• 모니터및 통제 : 범위 확인, 범위 통제
• 잘못된 범위 관리의 결과(이거 검색 해보기)
• 일정관리
• 계획 수립 : 계획, 활동정의 (산출물을 완성하기 위한 액티비티), 활동순서배열, 활동기간 산정, 일정개발
• 선후관계를 잘 파악 Critical Path
• 모니터링및통제 : 일정통제
• 원가관리
• 계획수립 : 원가관리 계획 수립 (Cost, Price)
• PM들이 많이 실수하는 부분.
• 센터장이나, 영업을 통해 내려진 원가에서 실행하는 PM이 반드시 검증해야 하는 것.
• 실행: 원가산정 (근사치 산정), 예산 결정
• 모니터링및통제 : 원가통제
• 프로젝트 인센티브는 여기에서 판가름!
• 품질관리
• 프로젝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, 별로 관심 밖.
• 계획수립 : 품질관리 계획수립 (방법론 결정)
• 실행: 품질관리
• 모니터링통제
• 계획 / 검증 / 통제
• QP (.. Plan) : 품질요구사항 : 동시접속 1000명, 응답속도 1초 이내 등, 결함은 어느정도 수준으로 되어야 함.
• QA (Quality Assurance) : 10개 영역 감사
• QC (.. Control) : 테스트 활동
• 프로젝트 자원관리
• 의사소통관리 : 이해관계자 정보공유, 계획, 이행
• 위험관리
• 계획수립 : 계획수립, 위험실별, 정성적 위험분석수행, 정량적 위험분석수행, 위험대응계획수립
• 발생가능성, 영향도 메트릭스
• 대응전략 : 회피 (사전차단), 전가 (위험.. 보험처리), 완화, 수용(소극적, 적극적 수용) 으로 수행.
• 조달관리
• 외주업체 등은 구매팀을 통해 조달
• 이해관계자관리
• 최근 PMBOK에서 추가된 개념. 프로젝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계자 관리. 프로젝트 잘됐을 때, 잘못됐을 때 영향받을 사람들. 어떻게 참여시킬 것인지. Key Person 을 찾을 것.
• 범주별 프로세스 (CMMI) : 카테기멜론 대학에서 만듦. 인증목적으로도 활용. BP 그룹화
• 프로젝트 관리, 엔지니어링, 지원, 프로세스 관리
• Base1 방법론 : 국제표준을 참고해서 만든 자사 방법론
• Base1/PM <> Base1/WEB
mkdir "01.착수"
mkdir "02.분석"
mkdir "03.설계"
mkdir "04.이행"
mkdir "05.종료"
mkdir "06.보고서"
mkdir "07.기타"
Last Updated: 4/13/2025, 11:14:44 PM